본문 바로가기
(음)반지(름)의 제왕

[Vinyl] Charles Mingus - Mingus Ah Um (Columbia - 1959)

by 무한제공자 2024. 3. 5.
반응형

AMG ★★★★★

​The Tracks:

Side one

1. Better Git It in Your Soul 7:22

2. Goodbye Pork Pie Hat (original LP length: 4:48) 5:44

3. Boogie Stop Shuffle (original LP length: 3:43) 5:02

4. Self-Portrait in Three Colors 3:06

5. Open Letter to Duke (original LP length: 4:56) 5:51

Side two

1. Bird Calls (original LP length: 3:12) 6:17

2. Fables of Faubus 8:14

3. Pussy Cat Dues (original LP length: 6:30) 9:14

4. Jelly Roll (original LP length: 4:02) 6:17


Personnel :

John Handy – alto sax (1, 6, 7, 9, 10, 11, 12), clarinet (8), tenor sax (2)[21]

Booker Ervin – tenor sax Shafi Hadi – tenor sax (2, 3, 4, 7, 8, 10), alto sax (1, 5, 6, 9, 12)

Willie Dennis – trombone (3, 4, 5, 12)

Jimmy Knepper – trombone (1, 7, 8, 9, 10)

Horace Parlan – piano

Charles Mingus – bass, piano (with Parlan on track 10)

Dannie Richmond – drums


마일즈 데이비스 (Miles Davis)의 <Kind of Blue>와 오넷 콜먼 (Ornette Coleman)의 <The Shape Of Jazz To Come>, 그리고 찰스 밍거스 (Charles Mingus)의 Columbia 데뷔작인 본작 <Mingus Ah Um>은 모두 1959년에 발표되었다. 재즈사에 한 획을 그을만한 클래식이 쏟아진 기념비적인 해이다. <Mingus Ah Um>은 마일즈 데이비스의 모달재즈와 오넷 콜먼의 프리재즈 양 극단 사이에 위치한 앨범으로 다양성 면에서는 두 앨범을 능가한다.

찰스 밍거스는 탁월한 베이스 연주자이자 밴드 리더였지만 공연 중 멤버를 질책하고 무대에서 쫓아내는가 하면 라이브 공연 중 악기를 부수기도 하는 등 분노조절장애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 음악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청중과 연주자에 대한 실망감에 대한 반응으로 그의 타협 없는 예술적 가치관에 따른 반응이었다.

<Mingus Ah Um>은 그가 중요한 재즈 작곡가임을 보여준다. 에너지 넘치는 첫 번째 트랙인 'Better Git in Your Soul'은 밍거스의 가장 잘 알려진 시그니처 곡이다. 곡 전반에 걸쳐 그는 베이스 연주와 함께 “오, 그래!” "할렐루야!" 소리를 외치는데 이는 마치 부흥회를 연상시킨다.

이어지는 'Goodbye Pork Pie Hat'은 재즈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테너 색소폰 연주자 중 한 명이었던 레스터 영 (Lester Young)에 대한 추모곡이다. 이 곡을 비롯해서 듀크 엘링턴 (Duke Ellington), 찰리 파커 (Charlie Parker), 젤리 롤 모튼 (Jelly Roll Morton) 등 자신에게 영향을 준 거장들에 대한 헌정곡을 담고 있다.

그리고 마치 누아르 영화의 테마곡처럼 들리는 'Boogie Stop Shuffle', 그의 다양한 면모와 정체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Self-Portrait in Three Colors' 등을 통해 뛰어난 예술성과 창의성을 보여준다. 이렇듯 앨범에는 밍거스의 다양한 음악적 영감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곡들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재킷은 누가 봐도 동일 작가구나 싶은 데이브 브루벡의 <Time Out >을 작업한 닐 후지타 (S. Neil Fujita)의 추상 그림이 사용되었다.

반응형